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5부 비(卑)금속과 그 제품  > 제75류 니켈
HS
제75류의 주

제75류 니켈과 그 제품

류주 :

1. 이 류에서 다음 용어에 대하여는 각각 다음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봉
봉이라 함은 압연·압출·인발 또는 단조제품으로서 코일상의 것이 아니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중공이 없고,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 또는 볼록정다각형(마주보는 두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편평상의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의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삼각형 또는 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 또한 주조 또는 소결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히 트리밍이나 스케일 제거와는 달리 연속가공으로 상기와 동일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을 가지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프로파일
프로파일이라 함은 압연·압출·인발·단조 또는 형조제품으로서 코일상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봉·선·판·쉬트·스트립·박 또는 관의 어느 정의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주조 또는 소결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히 트리밍이나 스케일제거와는 달리 연속가공으로 상기와 동일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을 가지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선
선이라 함은 압연·압출 또는 인발제품으로서 코일상의 것이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중공이 없고,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 또는 볼록정다각형(마주보는 두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편평상의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의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삼각형 또는 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

라. 판·쉬트·스트립 및 박
판·쉬트·스트립 및 박이라 함은 평판상의 제품(제7502호의 가공하지 아니한 물품을 제외한다)으로서 코일상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횡단면에 중공이 없는 직사각형(정사각형을 제외한다)의 것으로서 둥근 모양의 모서리(마주보는 두변이 볼록궁형이며 다른 두변은 직선이고 길이가 같으며, 평행한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를 가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두께가 균일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한다.
-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의 것은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외의 형태의 것은 그 크기를 불문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을 가지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506호는 판·쉬트·스트립 및 박으로서 무늬가 있는 것(예 : 홈·리브·체크무늬·물방울무늬·단추무늬·마름모꼴무늬)과 이들 물품에 천공한 것·파형한 것·연마한 것 또는 도포한 것으로서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을 가지지 아니하는 것에 적용한다.

마. 관
관이라 함은 전체를 통하여 하나의 중공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코일상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그 횡단면이 균일하며,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 또는 볼록정다각형의 형상으로서 그 관의 벽의 두께가 균일한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 또는 볼록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고, 횡단면의 내측과 외측이 동심이며, 상기와 동일한 형상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관으로 본다. 위와 같은 횡단면을 가진 관들은 연마한 것·도포한 것·구부린 것·나선가공한 것·천공한 것·웨이스트한 것·익스팬디드한 것·원추형으로 한 것 또는 플랜지·고리 또는 링을 붙인 것도 있다.

소호주 :

1. 이 류에서 다음 용어에 대하여는 각각 다음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합금하지 아니한 니켈
니켈과 코발트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99 이상인 금속으로서 다음 조건에 해당하여야 한다.

(1) 코발트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1.5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2) 기타 원소의 함유량은 중량비로 다음 표에 열거한 한도를 초과하지 아니한다.
기타 원소표
원소함유중량비율(%)
철(Fe)
산소(O)
기타원소, 각각
0.5
0.4
0.3

나. 니켈 합금
니켈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각각 기타 원소보다 가장 많은 금속물질로 다음 조건에 합당하여야 한다.

(1) 코발트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1.5를 초과하고

(2) 기타 원소중 적어도 한 원소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앞 표에 열거한 한도 보다 크거나

(3) 니켈과 코발트 외의 기타 원소의 함유량의 합계가 전중량의 100분의 1을 초과하여야 한다.

2. 이 류 주 1 다의 규정에 불구하고 소호 제7508.10호의 "선"이라는 용어에는 횡단면의 치수가 6밀리미터 이하인 제품(코일상인지의 여부와 횡단면의 형상을 불문한다)에 대해서만 적용한다.

총설 :
이 류에는 니켈과 그 합금 및 특정한 이들의 제품이 분류된다.
니켈은 비교적 단단한 회백색 금속으로, 1453℃에 용융된다. 이것은 자성, 가단성, 연성, 견고성이 있으며 내식성과 내산화성이 있다.
이는 주로 여러 함금(특히 합금강)의 제조, 보통 전착법(電着法)에 의한 타금속의 피복용, 및 화학반응촉매로서 사용된다. 합금되지 않은 니켈괴는 화학공업설비의 제조에 광범하게 사용되고, 니켈 및 그 금속은 화폐제조에도 사용된다.
제15부 주5의 규정에 따라 이 류에 주로 해당되는 니켈 합금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니켈 - 철합금 : 고투자율(高透磁率) 및 낮은 자기이력현상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해저전선, 유도코일철심, 자기차단용 재료로 쓰인다.

(2) 니켈 - 크로뮴합금 또는 니켈-크로뮴-철합금 : 이들에는 여러가지 부식성 환경은 물론 고온에서 산화와 스케일 발생에 대해 뛰어난 저항성과 좋은 강도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가지 상업용재료를 포함한다. 이른 재료는 전기저항가열장치내의 가열기소자로 사용되며, 철강과 기타 금속의 열처리에 사용되는 머플과 레토르트와 같은 구성 요소로 사용되거나 고온의 화학 또는 석유화학공정용의 파이프와 튜우빙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이 그룹에는 보통 고온에서 항공기터어빈에 고강도를 주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슈퍼합금"이라고 알려진 특수합금이 포함되는데, 이것이 사용되는 곳은 터어빈날개·연소실의 라이나·transition section등이다. 흔히 이들 합금은 니켈베이스 구조의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시키는데 유효한 몰리브데늄·텅스텐·니오븀·알루미늄·티타늄등을 함유하고 있다.

(3) 니켈 - 동합금 : 내식성뿐만아니라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이들 합금은 프로펠라축 및 패스너같은 것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특정한 무기 또는 유기산이나 알칼리 및 염에 노출되는 펌프·밸브·튜브 및 기타 형태의 장치에도 사용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니켈의 매트·소결한 산화니켈과 기타 니켈제련의 중간생산물 및 니켈의 괴, 니켈웨이스트와 스크랩(제7501호 내지 제7503호).

(B) 니켈의 분 및 플레이크(제7504호).

(C) 제7502호의 니켈괴를 보통 압연·단조·인발 또는 압출하여 얻어진 물품(제7505호 및 제7506호).

(D) 관 및 관연결구류(제7507호), 제7508호의 전기도금의 양극과 기타 물품(이것은 이 표의 다른 곳에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거나 제15부 주1 또는 제82류 내지 83류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니켈제품을 포함한다).
니켈물품과 제품에는 금속적인 성질 또는 외관등을 개선하기 위한 각종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처리는 보통 제72류 총설 끝부분에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품분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단, 전기도금용의 양극에 행해진 특별한 처리에 대하여는 제7508호의 해설 참조).
복합물의 분류에 있어서는 제15부 총설에 설명되어 있다.

◀ 제74류 제76류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