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504호 변압기·정지형 변환기(예 : 정류기)와 유도자
[호해설] (Ⅰ) 변압기 변압기는 전혀 가동부분을 갖지 않으며, 유도방법을 이용하고, 미리 설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해서 교류전류를 상이한 전압·임피던스 등과 같은 다른 교류전류로 바꾸어 주는 기기이다. 이들 변압기는 보통 적층철심에 절연전선을 감은 두개 이상의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예 : 무선주파수 변압기) 자심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그 심이 응결된 철분·페라이트 등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한쪽의 코일(일차 회로)에서 받는 교류전류는 보통 다른쪽의 코일(2차회로)에서 상이한 전류치 및 전압치로 교류전류를 유도한다. 어떤 경우(자동변압기)에는 코일이 한개 뿐이며, 권선부분이 일차 및 이차회로에 공통으로 되어 있다. 외철형 변압기의 경우에는 그 변압기 주위가 적층철로 들러 쌓여져 있다. 어떤 변압기는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로간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변압기와 전압 또는 전류를 예를 들면, 측정용기구·전력계나 보호용 계전기와 같은 연결된 기구의 수준까지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데 사용되는 계기용변압기(전류 또는 전압용의 변압기, 복합된 계기용 변압기) 등이 있다. 이 호는 모든 변압기를 포함한다. 이는 무선기기·계기류·완구류 등에 사용되는 소형의 안정기(방전램프 또는 방전튜브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을 통제한다)로부터 냉각을 위하여 유조에 봉입하였거나 방열기·팬 등을 장치한 대형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이 있다. 대형은 발전소·Stations for interconnecting mains·배전소 및 변전소에서 사용된다. 주파수는 중파로부터 초고주파까지 변화한다. 이 호에는 양선에 있는 임피던스(impedence)의 균형을 유지시켜 전자기 간섭을 감소시키는 baluns(밸런싱 유니트)를 포함한다. 변압기의 동력조절용량은 2차 정격전압(적용할 때는 암페어수)과 정격온도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정격주파수의 계속적인 사용에 근거한 킬로볼트 암페어 출력이다. 전기용접기기용의 변압기가 용접용 헤드(head) 또는 용접기구를 갖추지 않고 단독으로 제시된 경우에는 이 호에 분류되고, 용접용 헤드 또는 용접용 기구를 갖추어 제시될 경우에는 이호에서 제외된다(제8515호). 이 호에는 또한 유도코일이 포함된다. 유도코일은 일차측에서 계속 또는 변동으로 직류가 이와 상응하는 전류를 이차측으로 유도하는 일종의 변압기이다.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전화의 경우와 같이 일차측의 직류에 변동을 주어서 이와 상응하게 적은 변동전류를 이차측에 재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호에는 모든 유도코일이 포함되며, 내연기관용 점화기기는 제외된다(제8511호). (Ⅱ) 정지식 변환기 이 그룹의 기기는 전기에너지를 더욱더 유용하게 응용하기 위하여 변환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들은 다른 형의 변환장치(예 : 밸브)를 결합하고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의 보조장치(변압기·유도코일·저항기·Command regulator 등)를 결합할 수도 있다. 그들의 작동원리는 변환요소가 도체 및 부도체로서 번갈아 작용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들 기기는 방출전류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끔 보조회로를 결합한 사실 때문에 이 그룹에서 품목분류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때로는 전압조정기 또는 전류조정기로서 언급되는 사실 때문에도 또한 품목분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 그룹에는 다음의 것이 포함된다. (A) 정류기 : 교류(단상 또는 다상)가 보통 전압변화와 더불어 직류로 전환되는 것. (B) 인버터 : 직류가 교류로 전환되는 것. (C) 교류변환기 및 싸이클변환기 : 교류(단상 및 다상)가 상이한 주파수 또는 전압으로 전환되는 것. (D) 직류변환기 : 직류가 상이한 전압으로 전환되는 것. 정지식변환기는 장치된 변환소자의 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1) 반도체변환기는 어떤 결정체간의 일방전도성에 근거를 두었으며, 그러한 변환기는 변환소자와 같은 반도체와 기타의 각종장치(예 : 냉각기, 테이프도체, drives, 조정기,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이들에는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a) 변환소자와 같이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 결정체(다이오드·다이리스터·트랜지스터)를 함유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단결정체의 반도체 정류기. (b) 세레늄원판을 사용하는 다결정체의 반도체정류기. (2) 가스방전 변환기, 예를 들면 : (a) 수은아크정류기·변환소자는 유리구 또는 진공상태와 수은음극을 가진 금속탱크 및 전류가 정류된 통로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양극탱크로 구성된다. 그들은 보조장치(예 : priming·충전·냉각 및 때로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기폭장치에 의하여 구분할 수 있는 가스방전정류기에는 예를 들면, 충전된 양극을 가진 "엑시트론"과 점화기를 가진 "이그니트론"의 두 범주가 있다. (b) 백열음극을 가진 열이온정류기. 그들 변환소자(예 : 사이라트론)는 수은음극 대신 백열음극을 넣는 것 이외에는 수은아크 정류기와 유사하다. (3) 여러접점중에서 일방전도성에 근거한 기계적 변환요소를 가진 변환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 접촉형 정류기(예 : 캠축을 사용하는 것) : 정류된 교류의 주파수와 동시에 금속접촉이 개폐되는 장치를 가진 것. (b) 수은 제트터빈 정류기 : 교류의 주파수와 동시에 움직여서 고정된 접점을 치는 수은회전제트를 가진 것. (c) 진동정류기 : 얇은 금속편을 갖는 것으로 교류 주파수에 따라 진동하며, 한 접점과 접촉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른다. (3) 전해정류기 : 전해액으로 사용되는 어떤 용액과 결합해서 전극으로 사용되는 어떤 물품의 결합물이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원리를 근거로 한 것. 정지식 변환기는 다음과 같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 고정기계 또는 전기식 견인차량(예 : 기관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변환기. (2) 전기공급용 변환기 : 예를들면, 축전기용 충전기(주로 변압기와 전류조절장치를 조합한 정류기로 구성되어 있음). 전기도금용 및 전해용의 변환기·고압직류를 공급해 주는 설비용의 변환기·가열용의 변환기 및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는 변환기와 같은 것. 이 호에는 또한 고압발생기(특히 무선기기·방출관·마이크웨이브 튜브·이온 빔 관과 함께 사용되는 것)로 알려진 변환기도 분류되는데, 이것은 각종 전원(보통은 본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고압직류로 바꾸어 주는 것이며, 이 고압직류는 정류기·변압기 등에 의하여 연관되는 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이 호에는 또한 안정용의 전원공급기(조정기와 결합된 정류기)를 포함한다.(예 : 전자장비용 무정전전원공급장치) 다만, 방사선용기기의 공급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고압발생기(변압기)는 제9022호에 분류된다. 자동전압조정기는 제9032호에 분류된다. (Ⅲ) 인덕터 주로 단권의 코일로 되어 있으며, 교류회로에 삽입하면 자기유도에 따라 교류의 흐름을 제한 또는 저지한다. 무선회로·계기 등에 사용되는 작은 초우크로부터 콘크리트에 설치되어 전력회로에 사용되는(예 : 단로때에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하여) 대형코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인쇄처리방법에 의해 개별 구성부품의 형태로 얻어진 인덕터 또는 인덕턴스는 이 호에 분류된다. 음극선관용 디플렉션(편향) 코일은 제8540호에 분류된다.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의 물품의 부분품도 이 호에 분류된다. 특히 금속조형수은 아아크 정류기는 펌프의 유무를 불문하고 항상 부분품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 호에 해당되는 장치의 대부분의 전기부품은 이 류의 다른호에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 (a) 제8536호의 각종 스윗치(예 : 다접촉변압기와 함께 사용되는 것). (b) 진공 또는 수은증기정류관 및 밸브(금속조형 제외)와 사이라트론(제8540호). (c) 반도체 다이오드·트랜지스터 및 다이리스터(제8541호). (d) 제8542호의 물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