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108호 금(백금을 도금한 금을 포함하며, 가공하지 아니한 것·일차제품 형상의 것 또는 분상의 것에 한한다)
[호해설] 이 호에는 가공하지 아니하거나 반제품 또는 분상형태의 금 및 금의 합금(상기 총설에서 정의되었음)이나 백금으로 도금된 금이 분류된다. 그러나 귀금속을 입힌 금은 분류되지 아니한다. ㅇ ㅇㅇ 금은 특징있는 황금색을 나타내며, 고온에서도 산화되지 않고, 산(그러나 왕수는 금을 부식한다)을 포함하는 대개의 시약에 대해 화학적 저항성을 갖는다. 금은 은과 동 다음으로 열과 전기에 있어 가장 좋은 전도체이며, 모든 금속중에서 가단성·연성(延性)이 가장 크다. 반면에 매우 유연하므로 전기도금용 또는 전기침전용을 제외하고는 비합금(순금)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 류 주5의 규정에 따라(상기 총설 참조) 이 호에 게기하는 금합금에는 다음의 것이있다. (1) 금 - 은합금 : 구성하고 있는 합금금속의 비율에 따라 황색, 녹색, 백색 등 여러가지 색상이 있다. 이들은 신변장식용품용, 전기접점용과 특수한 고용융점의 땜접용으로 사용된다. (2) 금 - 동합금 : 주로 주화, 신변장식용품·금세공품 또는 전기접점용으로 사용된다. (3) 금 - 은 - 동합금 : 주로 신변장식용품, 금세공품에 사용되며 또한 치과용 합금 또는 땜접용합금(solders)으로 사용된다.이 합금은 아연과 카드뮴을 함유하기도 하며, 이 경우 땜접으로 사용된다. 주로 은 및 동으로 구성된 "dore" 또는 "bullion dore"으로 불리우는 합금이 있는바 금의 함유량이 2%이상의 것은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합금은 특정의 동을 함유한 황화철강 또는 조동 처리시 유도되는 잔유물에서 생산되는데 그 후 구성금속을 분리하기 위하여 정련한다. (4) 금 - 동 - 니켈 합금 : 간혹 추가로 아연 및 마그네슘을 함유한 것, 각종 합금(합금, 일부 국가에서는 회색금으로 알려져 있음)은 가끔 백금의 대용물로서 사용된다. 단, 파라듐을 2%이상 함유하는 백금을 제외한다.(제7110호) (5) 금 - 니켈합금 : 전기접점의 제조에 사용된다. 이 호에는 은에 관하여 기술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 금 및 금합금이 포함된다. 따라서 제7106호의 해설규정이 준용된다. [소호해설] 제7108.20호 이 소호에는 국가간 또는 국제통화기관간이나 수권은행간에 교환하는 금을 분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