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A)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 수산화나트륨(NaOH·가성소다)은 상관습상 소다와 혼동하지 말아야하며 상관습상 소다는 탄산나트륨이다(제2836호). 수산화나트륨은 예를들면 탄산나트륨에 석회유를 가성화하거나 염화나트륨을 전해하여 얻는다. 이는 수용액 또는 무수고상으로 제시되고 수용액을 증발시키면 편상 또는 럼프상의 고체수산화나트륨이 된다. 수산화나트륨의 순품은 페렛상 또는 입방상으로 유리용기에 제시된다. 고체 수산화나트륨은 피부와 점막을 침식한다. 조해성이 있으며 물에 잘 용해되고 잘 봉함한 철제용기에 보존하여야 한다. 이는 여러 공업에 사용되는 강력한 염기이다. 리그닌을 제거하여 특정 화학목재펄프 제조·재생섬유의 제조·목면의 광택 가공·탄탈과 니오브의 야금·경비누의 제조·여러 화학제품의 제조·석탄산화물질의 제조(석탄산·레소르시놀·알리자린 등)에 사용된다. 이 호에는 알칼리 또는 황산염공정으로 목재펄프 제조에서 생기는 잔유물로 얻어지는 소다폐액(제3804호)은 제외되며 이 소다 폐액에서 제3803호의 토올 오일과 재생 수산화나트륨을 얻을 수 있다. 이 호에는 또한 '소다석회'로 칭하는 석회와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물은 제외된다(제3824호). (B) 수산화칼륨(가성칼륨) 수산화칼륨(KOH)(가성칼륨)은 위에서 설명한 수산화나트륨과는 매우 유사하다. 탄산칼륨(제2836호)또는 상관습상 가리(potash)(특정 국가에서 칼륨의 염·특히 염화칼륨을 칭하는 부정확한 명칭)와 구별하여야 한다. 이는 보통 천연 염화칼륨(제3104호)의 수용액을 전해하거나 탄산칼륨을 석회유로 가성화하여 얻는다. 순수한 수산화칼륨은 알콜과 처리하여 수산화바륨과 황산칼륨을 복분해하여 얻는다. 수산화칼륨은 수용액(potash lye)·다소 고도로 농축한 것(보통 약 50%)또는 산화칼륨을 함유하는 고체(불순물이 혼합)로 제시되는 수도 있다. 이는 수산화나트륨과 동일한 방법으로 저장되고 유사한 성질이 있다. 용도는 연질의 비누 제조, 도금 또는 재도장하는 부분의 산세척, 표백, 과망간산칼륨의 제조등이다. 또한 뜸질제(봉상)로 의약용에 사용되는데 이 용도에 적합하도록 석회와 혼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제3003호 또는 제3004호에 분류된다. (C) 과산화나트륨 과산화나트륨(Na2O2)은 나트륨을 연소시켜 얻으며 조해성이 강한 백색 또는 황색분말로 비중은 약 2.8이다. 물에 분해되어 열을 발생하고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또한 케이크형태로 밀폐한 금속용기에 제시된다. 비누제조·섬유표백에 사용되며 유기합성에서 산화제 또는 공기정화제(예 : 잠수함)에 사용된다. 과산화수소를 급히 제조키 위하여 과산화나트륨에 촉매(동의 흔적 또는 니켈염 등)를 혼합한 경우는 조제품이므로 제3824호에 해당된다. (D) 과산화칼륨 과산화칼륨(K2O2)은 제조공정·성질과 용도에 대하여 과산화나트륨과 매우 유사하다.
|